청년도약계좌 조건, 대상, 신청방법, 일시납입 총정리 5000만원 목돈 만들기

청년도약계좌는 5년만기시 최대 5,000만원이라는 목돈을 만들 수 있는 특별한 계좌입니다.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 육아, 집 구매 등 큰 돈이 필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대상, 신청방법, 일시납 등 꼼꼼하게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대상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의 지원을 받는 특별한 계좌로 신청 기간과 계좌 개설기간이 정해져있습니다. 매월 신청은 첫째주에서 둘째주 사이 비슷한 형태로 진행됩니다. 이미 놓치셨던 분들은 다음 신청기간을 놓치지 마시고 혜택 챙겨가세요.

📌나이 : 계좌개설일 기준 만19~34세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차감)

📌개인소득 : 직전과세 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면서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 (육아휴직자도 가입 가능)

📌금융소득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각각 이자 소득 및 배당소득 합계가 2,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가구원 소득합계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중위소득 250% 이하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전전년도 소득기준으로 산정)

가구원수1인가구2인가구3인가구4인가구5인가구6인가구
2024년 중위소득 180%4,011,2016,628,6968,486,38310,313,84312,052,32313,713,064

청년도약계좌 지원혜택

3년 이상 가입 시 중도해지를 하여도 비과세 혜택은 유지됩니다. 중도해지 인정 사유가 추가되어 혼인, 출산 사유로 중도해지를 하여도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정부 기여금은 가입자의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지급 됩니다. 신청자는 핀다 어플을 활용하여 자신의 조건 적합 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총급여 기준종합소득
기준
지급한도매칭비율한도
2,400만원 이하1,600만원 이하40만원6.0%2.4만원
3,500만원 이하2,600만원 이하50만원4.6%2.3만원
4,800만원 이하3,600만원 이하60만원3.7%2.2만원
6,000만원 이하4,800만원 이하70만원3.0%2.1만원
  • 육아 휴직자도 도약계좌 신청 가능
  • 비과세 소득에 관한 기준 완화
  • 3년 유지시 중도해지해도 비과세 적용
  • 혼인이나 출산 사유로 중도해지 할 시 비과세와 기존에 받았던 정부기여금까지 받을 수 있음
  • 청년도약계좌는 3.80%에서 4.5%까지 기본금리 3년 고정으로 제공되며 은행별 우대금리 혜택도 따로 지급되니 은행별 우대금리 확인은 필수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산정 방식은 예를 들어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매월 40만 원을 적금할 경우 매칭 비율 6.0%가 적용되어 24,000원을 정부에서 추가로 지급합니다.

원금에 대한 이자도 발생하지만 보조금 역시 적립금에 포함되어 이자가 발생할 경우 상당히 큰 수익이 모이게 됩니다. 기준중위소득 범위가 넓기 때문에 기타 자산형성 정책에 비해 가입하기가 편리하여 가입이 가능하다면 꼭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대상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취급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 및 가입이 가능합니다. 외국인 신청은 비대면 (은행 앱), 가입은 대면(은행 지점)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필요서류

  • 신분증 : 주민증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제출
  • 소득 증명 서류 : 근로소득자는 근로소득 원청징수영수증, 사업소득자는 사업등록증과 세금계산서, 기타소득자는 기타소득 증명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농협은행
(바로가기)
신한은행
(바로가기)
우리은행
(바로가기)
하나은행
(바로가기)
기업은행
(바로가기)
국민은행
(바로가기)
부산은행
(바로가기)
광주은행
(바로가기)
전북은행
(바로가기)
경남은행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신청 절차

  1. 가입신청 2주 진행
  2. 심사요건 확인 2주
  3. 계좌개설 2주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를 적용하여 정부기여금도 예정비율의 60% 수준으로 지급하도록 추진중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가 환승 및 일시납입 방법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일시납입을 통해 환승이 가능하며 최대 수익은 약 856만 원으로 연 8.19~9.47%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시납입은 최소 200만 원부터 가능하며 40,50,60,70만 원 중 월 설정 금액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시납입 후 설정 기간 동안 추가 납입은 불가능하며 설정 후 변경도 불가능합니다.

신규 가입 후의 만기액 이자와 일시납입 후를 비교하였을 때 신규를 통한 꾸준한 납입이 더 유리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설 주의사항

  • 취급 은행을 포함하여 1인당 1개의 계좌만 개설이 가능합니다.
  • 청년희망적금 가입 유지 중인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가입 후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을 기준으로한 개인소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될 시 비과세 혜택 적용이 불가하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여부로 확인되면 납입 중지 처리 될 수 있습니다.
  • 소득이 변동되면 기여금이 변동됩니다.
  • 청년지원상품과 동시에 가입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부정이익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가 가능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